- HOME
- 사서·오경
(오서오경독본)시경집전 상중하(3책)
<현토완역 시경집전>의 특징과 구성에 관해 간략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시경집전>은 전통문화연구회의 ‘오서오경독본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오서오경독본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21세기 번역의 표준을 제시하고자 기획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축적된 국내외 연구성과를 망라하여 독자의 기호에 따라 연구의 기본자료, 교재, 입문서, 교양서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시경집전>은 상중하 총 3책으로 구성하였으며, 현대어에 맞는 번역과 자상한 해설, 그리고 풍부한 도판과 자료를 부록하여 독자 스스로 시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독자 중심의 책입니다. 그 특징을 대략 다섯 가지로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기획 의도에 맞춰 우리나라의 전통 한문독법 중 지금까지 생명력을 유지한 현토를 사용하여 원문을 정리하였습니다. 번역문은 원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도 시적인 표현을 살리고자 노력하였습니다.
2. 物名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三禮圖>, <五經圖彙>, <詩名多識> 등 기존의 연구성과를 풍부하게 활용하여 圖版을 수록하였습니다. 또 歷史 背景과 地理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國風과 魯頌의 앞에 ≪中國歷史地圖集≫을 바탕으로 해당 내용에 맞게 수정하여 地圖를 수록하였으며, 각 나라의 王世系를 함께 수록하여 시의 저작 왕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3. 각 詩篇의 끝에 四書 등 古典에서 자주 引用되는 用例와 사례를 添附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또한 용례 총 660여 항목을 색인, 下冊에 붙여 독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宋代 朱熹는 唐나라 때에 완성된 <毛詩正義> 이후 官學化한 시 해석을 비판하며 <詩集傳>을 지었습니다. 그러나 <시집전>만으로는 주희의 시 해석에 대한 내면을 살펴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본 <시경집전>은 주희의 <모시정의> 비판과 새로운 시 해석의 내면을 오롯이 살펴볼 수 있는 주희의 <詩序辨說>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번역 소개하였습니다. <시서변설>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서>의 문제점을 논박하는 것이 주된 내용으로 <시서>에 대한 주희의 견해가 집약되어 있습니다. <모시정의>를 비판하고 <시집전>을 지은 이유와 주희의 詩經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시경집전>의 하책에 부록하였습니다.
5. 詩에 대한 역대 연구서 64종의 내용과 특성 등을 간결하게 소개한 <四庫全書簡明目錄 詩類>를 번역 수록하여 漢代부터 淸代까지 시 연구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고, 역대 주석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경집전>의 구성과 특징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렸습니다. 본 <시경집전>은 평생 <시경>을 강의하고 연구하신 박소동 선생님의 지식이 온전히 녹아 있는 책입니다. 그런만큼 박소동 선생님의, 평생의 정력이 담겨 있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과 ≪주역전의≫를 끝으로 근 10년 동안의 노력에 마침내 방점을 찍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번역사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부족할 뿐 아니라 조급하게 번역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내외 연구 성과가 쌓임은 물론이고 동양학 열풍으로 높아진 독자의 지적호기심을 채우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마침내 2005년 개정증보판改訂增補版 사서四書를 발간하였으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21세기판 동양고전번역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총서를 기획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서오경독본’ 시리즈다. 오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을, 오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오서오경은 유학儒學과 동아시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는 고전古典이다. 본회에서는 치밀한 준비와 연구를 거쳐 ≪논어집주≫, ≪대학 중용집주≫에 이어 ≪시경집전≫ 세 권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시경詩經≫의 성격
≪시경≫이란 어떤 책인가. ≪논어≫의 말을 빌자면 사무사思無邪, 곧 “생각에 사특함이 없는” 내용이다. 본래 이 말은 ≪시경≫ ?노송 경?에 나오는 말인데, 공자가 시를 읽다 마음에 부합되는 바가 있어 단장취의하였다고 한다. 이 시들은 주나라 때 민간의 가요를 채록한 것들로 풍風ㆍ아雅ㆍ송頌이 갖추어 전한다.
시는 크게는 천자와 제후, 백성과 관료간의 의사소통에, 작게는 남녀간에 사랑의 감정을 소통하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논어≫에서도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가 없다.”라 하여 그 효용을 단적으로 말한 바 있다. 곧 시는 자신의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기교가 담겨 있고, 이를 익혀야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할 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국가 간의 외교에서도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상징적으로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었다.
“주희가 제가의 학설을 집대성하다”-≪시경≫ 성립 과정
한나라 초기에 노나라 신배공과 제나라 원고생과 연나라 한영의 학설을 각각 노시·제시·한시라 하여 삼가시三家詩라 하였다. 이외에 서한 조나라의 모형이 지은 《고훈전》이 당시 민간에만 광범위하게 전파되다가 동한시기에 제자 모장이 박사가 되고 학관에 들었는데, 이를 모시라 하였다. 동한시기에는 정현의 ≪모시전≫이 영향력이 컸다.
당대에 와서 공영달은 당시까지 전래해온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한 ≪모시정의≫를 편찬하였다. 이후 당나라는 물론 송나라 초기까지 관학에서 이를 기준으로 삼아 교육하고 인재를 채용하자 소위 삼가시들은 그 지위를 잃고 모시毛詩만이 전해지게 되었다.
마침내 남송에 이르러 주희가 제가의 학설을 집대성한 ≪시집전≫이 출현하게 되고, 시학의 일가를 이루게 된다. 원나라 때에는 과거시험에서 주희의 ≪시집전≫을 채용하였고, 명나라 때에도 원나라의 제도를 따라 ≪시집전≫을 표준교재로 사용하였다. 호광 등이 칙명을 받들어 ≪시경대전≫을 편찬하였는데 원나라 유근의 ≪시경통석≫을 저본으로 약간 보완한 것이다.
<시서>를 벗어나 해석의 자유를 얻다-주희 ≪시집전≫의 특징
주희 ≪시집전≫의 가장 큰 특징은 예로부터 금과옥조처럼 여긴 <시서詩序>에 대한 부정이다. <시서>는 각 시의 저작 의도, 작자, 유래 등을 설명한 것이다. <시서>의 저자에 대해서는 그 설이 분분한데, 공자, 혹은 공자의 제자 자하로 생각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시서>를 공자, 자하 등이 지었다고 한다면 ≪시경≫의 시는 <시서>의 범위를 벗어나 자유롭게 해석하기 어려워진다. 시는 형식상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상징성이 있으나, <시서>는 해석의 방향을 안내해 주는 역할로 인해 오히려 해석의 자유를 심각하게 훼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희는 <시서>를 공자, 자하 등이 지었다는 설을 부정한다.
주희는 시가 도리어 서序에 따라 지어진 것처럼 된 모순을 지적하며 시 본문에 의거하여 자신이 그르다고 생각한 것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기존 <시서>의 견해를 부정하였다. 이를 통해 주희만의 독자적인 ≪시경≫ 해석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소위 음시淫詩라고 하는 시들이다. 기존 이런 시들은 풍자를 목적으로 한 시이며, 예의에서 벗어나는 내용의 시들은 없다란 입장에서 벗어나 주희는 ≪시경≫에 소위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의 시들, 곧 남녀의 애정이 저속되게 표현된 시들이 있다고 말하며, 이를 민간의 천한 자들이 지은 시로 여겼다.
사무사, 시에는 생각이 사특한 것이 없다라 하는 대전제에서 이러한 남녀상열지사의 시들은 그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주희는 저자의 방향에서 독자의 방향으로 과감히 전환한다. 곧 작자가 나쁜 생각이 없이 지었다는 측면이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당시 풍속의 실체를 드러내 경계를 삼고자 하는 권선징악勸善懲惡의 측면이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남녀상열지사의 시들을 <시서>에서는 정치적인 풍자와 교화로 풀이하였지만, 주희는 그것이 일반 백성의 일들이며 일상의 일들이 가감없이 노래로 불렸음을 꿰뚫어 보았다. 이는 오히려 시의 핵심을 파악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희는 여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시서> 내용의 경우 남녀의 상하관계를 엄격히 설정하여, 여성의 긍정적 역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현재의 시각에서 이러한 주희의 입장을 엄밀히 살펴 보고 비판하는 것 또한 ≪시경≫이 계속하여 시대에 맞게 새로 읽히는 방식일 것이다.
<시서변설>과 <사고전서간명목록>-이 책의 특징
<시서>에 대한 주희의 입장은 <시서변설詩序辨說>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그 학문적 가치 또한 크다. 주희의 시경관을 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지만 우리나라에서 간행한 ≪시전대전≫에는 이를 삭제하였으며, 기존 많은 ≪시경≫ 번역서에도 소개되지 않았다. 본회에서 새로 간행하는 ≪오서오경독본 시경집전≫은 주희의 <시서변설>을 부록하여 주희의 시경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서변설> 이외에 <사고전서간명목록 시류四庫全書簡明目錄 詩類>도 부록하여 ≪시경≫ 연구에 필요한 역대 주석서들의 간략한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하였다. 또한 ≪시경≫의 각 편 마지막에는 ≪시경≫의 시를 전고典故로 한 용어를 용례와 함께 제시하여 ≪시경≫에 나온 용어가 후대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활용을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모시품물도고≫ 등에서 70여 개의 풍부한 도판을 실어 초목, 기물 등 내용의 이해를 돕기 쉽게 하였으며, 역사적 배경과 지리에 대한 설명을 담아 국풍國風과 노송魯頌 앞에 지도 및 세계世系를 수록하였다
이 책을 번역한 박소동朴小東 교수는 난포蘭圃 서한태徐漢泰 선생을 사사師事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과 상임연구부,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한학교수 및 이사로 있으며 그 번역에 대한 공훈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기도 하였다. 고전번역원에서 오랫동안 ≪시경≫을 강의하고 ≪모시정의≫를 번역한 바 있는 전문성을 지닌 번역자이다.
역자 소개
박소동 朴小東
전남 구례 광의 출생
蘭圃 徐漢奉 선생 사사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상임연구부 졸업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졸업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장 편찬실장 교무처장
한국고전번역원 한학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석·박사 통합과정 겸임교수
한국고전번역원 명예한학교수·이사(現)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論文 <古典國譯事業의 回顧와 展望>, <禮와 樂舞의 상호관련성>, <退溪 四書釋義의 經學的 特性에 관한 연구>, <古典國譯의 實際>, <朝鮮王朝儀軌 飜譯의 現況과 課題>, <韓國古典 飜譯의 歷史>
譯書 《嘉禮都監儀軌》, 《親耕·親蠶儀軌》, <高宗壬寅進宴儀軌》
共譯 《茶山詩文集5》, 《宋子大全6·10》, 《弘齋全書16》, 《中宗實錄48》, 《明宗實錄15》, 《宣祖實錄13·30·38》, 《光海君日記5·14》, 《仁祖實錄6·17》, 《孝宗實錄1》
編書 《궁궐 밖의 역사》 외
책 속으로
? 關關雎鳩 구욱구욱 정겨운 물수리
在河之洲 하수 모래톱에 노닐고
窈窕淑女 얌전도 할사 숙녀는
君子好逑 군자의 좋은 짝이로세
-(<關雎(관저)> )
? 碩鼠碩鼠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黍 내 기장 먹지 말지어다
三歲貫女 오래도록 너와 잘 지냈는데
莫我肯顧 날 돌보려 하지 않는다면
逝將去女 내 너를 버리고 떠나
適彼樂土 저기 살기 좋은 곳으로 가리라
樂土樂土 살기 좋은 곳 살기 좋은 곳
爰得我所 내가 살 곳이로다
-(<碩鼠(석서)> )
? 七月流火 칠월이라 대화심성 서쪽으로 내려가면
九月授衣 구월이라 겨울옷을 주느니라
一之日?發 동짓달엔 바람 쌀쌀하고
二之日栗烈 섣달엔 날씨 차가우니
無衣無褐 비단옷 털옷 없으면
何以卒歲 어떻게 한 해를 마치리오
三之日于? 정월엔 나가서 보습 고치고
四之日擧趾 이월엔 밭 갈러 가거든
同我婦子 우리 아내 자식 함께
?彼南畝 남쪽 밭에 점심 내어오면
田畯至喜 권농관 와서 보고 기뻐하였느니라
-(七月(칠월)> )
? 采薇采薇 고사리 뜯고 뜯세나
薇亦柔止 고사리 또 부드럽겠네
曰歸曰歸 돌아가리 돌아가리
心亦憂止 마음속 근심만 늘어가네
憂心烈烈 시름겨운 마음 초조하여
載飢載渴 배고프고 목마르네
我戌未定 내 수자리 기한이 없으니
靡使歸聘 집의 소식도 묻지 못하네
-(采薇(채미)> )
? ??牡馬 건장하고 살찐 수말들
在坰之野 저 멀리 들판에 있으니
薄言?者 건장한 말들이로다
有?有? 그은총이 적부루말 있고
有?有魚 정강이 흰 말 두 눈 흰 말 있으니
以車祛祛 수레 매면 씩씩하도다
思無邪 생각이 사악함 없으니
思馬斯? 잘 달리는 말 생각이로다
-(?(경)> )
目 次
【上冊】
?刊行辭 / 10
?解 題 / 13
?凡 例 / 36
詩經集傳 / 41
詩經集傳 卷之一
國風 一
周南 一之一 / 46
關雎(관저)48
葛覃(갈담)53
卷耳(권이)55
?木(규목)58
?斯(종사)59
桃夭(도요)61
兎?(토저)63
??(부이)64
漢廣(한광)66
汝墳(여분)69
麟之趾(인지지)71
召南 一之二 / 74
鵲巢(작소)74
采?(채번)76
草蟲(초충)78
采?(채빈)81
甘棠(감당)83
行露(행로)84
羔羊(고양)87
殷其?(은기뢰)89
?有梅(표유매)90
小星(소성)92
江有?(강유사)93
野有死?(야유사균)95
何彼?矣(하피농의)97
騶虞(추우)99
詩經集傳 卷之二
? 一之三 / 103
柏舟(백주)105
綠衣(녹의)108
燕燕(연연)111
日月(일월)113
終風(종풍)116
擊鼓(격고)118
凱風(개풍)121
雄雉(웅치)124
匏有苦葉(포유고엽)125
谷風(곡풍)129
式微(식미)135
?丘(모구)136
簡兮(간혜)139
泉水(천수)142
北門(북문)146
北風(북풍)148
靜女(정녀)150
新臺(신대)151
二子乘舟(이자승주)153
詩經集傳 卷之三
? 一之四 / 156
柏舟(백주)156
牆有茨(장유자)158
君子偕老(군자해로)160
桑中(상중)163
?之奔奔(순지분분)166
定之方中(정지방중)167
??(체동)171
相鼠(상서)174
干?(간모)175
載馳(재치)177
衛 一之五 / 182
淇奧(기욱)182
考槃(고반)185
碩人(석인)187
氓(맹)191
竹竿(죽간)197
?蘭(환란)199
河廣(하광)201
伯兮(백혜)203
有狐(유호)206
木瓜(모과)208
詩經集傳 卷之四
王 一之六 / 211
黍離(서리)212
君子于役(군자우역)215
君子陽陽(군자양양)217
揚之水(양지수)218
中谷有?(중곡유퇴)221
兎爰(토원)223
葛?(갈류)225
采葛(채갈)227
大車(대거)229
丘中有麻(구중유마)230
鄭 一之七 / 232
緇衣(치의)233
將仲子(장중자)234
叔于田(숙우전)236
大叔于田(대숙우전)238
淸人(청인)240
羔?(고구)243
遵大路(준대로)244
女曰鷄鳴(여왈계명)245
有女同車(유녀동거)248
山有扶蘇(산유부소)249
?兮(탁혜)251
狡童(교동)252
?裳(건상)253
?(봉)254
東門之?(동문지선)255
風雨(풍우)257
子衿(자금)258
揚之水(양지수)260
出其東門(출기동문)261
野有蔓草(야유만초)263
溱洧(진유)264
詩經集傳 卷之五
齊 一之八 / 268
鷄鳴(계명)269
還(선)270
著(저)272
東方之日(동방지일)273
東方未明(동방미명)274
南山(남산)276
甫田(보전)279
盧令(노령)281
??(폐구)282
載驅(재구)283
?嗟(의차)285
魏 一之九 / 289
葛?(갈구)290
汾沮?(분저여)292
園有桃(원유도)294
陟岵(척호)296
十畝之間(십무지간)297
伐檀(벌단)298
碩鼠(석서)301
詩經集傳 卷之六
唐 一之十 / 304
??(실솔)304
山有樞(산유추)307
揚之水(양지수)309
椒聊(초료)311
綢繆(주무)312
?杜(체두)314
羔?(고구)316
?羽(보우)317
無衣(무의)319
有?之杜(유체지두)321
葛生(갈생)322
采?(채령)324
秦 一之十一 / 327
車?(거린)328
駟?(사철)330
小戎(소융)331
??(겸가)336
終南(종남)338
黃鳥(황조)340
晨風(신풍)343
無衣(무의)345
渭陽(위양)348
權輿(권여)350
詩經集傳 卷之七
陳 一之十二 / 353
宛丘(완구)354
東門之?(동문지분)356
衡門(횡문)357
東門之池(동문지지)359
東門之楊(동문지양)360
墓門(묘문)361
防有鵲巢(방유작소)363
月出(월출)364
株林(주림)365
澤陂(택피)366
檜 一之十三 / 370
羔?(고구)370
素冠(소관)371
?有?楚(습유장초)374
匪風(비풍)375
曹 一之十四 / 377
??(부유)378
候人(후인)379
?鳩(시구)382
下泉(하천)385
附 錄
?《詩經集傳 上》 도판 목록 / 391
【中冊】
?刊行辭 / 9
?凡 例 / 12
詩經集傳 卷之八
? 一之十五 / 17
七月(칠월)18
??(치효)30
東山(동산)34
破斧(파부)40
伐柯(벌가)43
九?(구역)45
狼跋(낭발)47
詩經集傳 卷之九
小雅 二?〔大雅說附〕
鹿鳴之什 二之一 / 52
鹿鳴(녹명)53
四牡(사모)56
皇皇者華(황황자화)60
常?(상체)64
伐木(벌목)70
天保(천보)74
采薇(채미)79
出車(출거)84
?杜(체두)89
南?(남해)92
白華之什 二之二 / 94
白華(백화)94
華黍(화서)94
魚麗(어리)95
由庚(유경)97
南有嘉魚(남유가어)98
崇丘(숭구)100
南山有臺(남산유대)101
由儀(유의)103
蓼蕭(육소)104
湛露(잠로)107
詩經集傳 卷之十
?弓之什 二之三 / 110
?弓(동궁)110
菁菁者莪(청청자아)113
六月(유월)115
采?(채기)120
車攻(거공)125
吉日(길일)131
鴻?(홍안)134
庭燎(정료)137
沔水(면수)138
鶴鳴(학명)140
詩經集傳 卷之十一
祈父之什 二之四 / 144
祈父(기보)144
白駒(백구)146
黃鳥(황조)149
我行其野(아행기야)151
斯干(사간)154
無羊(무양)162
節南山(절남산)165
正月(정월)173
十月之交(시월지교)185
雨無正(우무정)193
詩經集傳 卷之十二
小旻之什 二之五 / 200
小旻(소민)200
小宛(소완)205
小弁(소반)210
巧言(교언)218
何人斯(하인사)223
巷伯(항백)230
谷風(곡풍)234
蓼莪(육아)236
大東(대동)240
四月(사월)246
詩經集傳 卷之十三
北山之什 二之六 / 251
北山(북산)251
無將大車(무장대거)254
小明(소명)255
鼓鍾(고종)259
楚茨(초자)262
信南山(신남산)269
甫田(보전)273
大田(대전)278
瞻彼洛矣(첨피락의)283
裳裳者華(상상자화)284
詩經集傳 卷之十四
桑扈之什 二之七 / 288
桑扈(상호)288
鴛鴦(원앙)290
?弁(기변)291
車?(거할)294
靑蠅(청승)298
賓之初筵(빈지초연)300
魚藻(어조)307
采菽(채숙)308
角弓(각궁)312
?柳(울류)316
詩經集傳 卷之十五
都人士之什 二之八 / 319
都人士(도인사)319
采綠(채록)322
黍苗(서묘)324
?桑(습상)326
白華(백화)328
?蠻(면만)332
瓠葉(호엽)334
漸漸之石(삼삼지석)336
苕之華(초지화)338
何草不黃(하초불황)339
詩經集傳 卷之十六
大雅 三
文王之什 三之一 / 342
文王(문왕)342
大明(대명)350
?(면)357
?樸(역복)365
旱麓(한록)369
思齊(사재)372
皇矣(황의)376
靈臺(영대)387
下武(하무)390
文王有聲(문왕유성)393
附 錄
?《詩經集傳 中》 도판 목록 / 403
【下冊】
?刊行辭 / 9
?凡 例 / 12
詩經集傳 卷之十七
生民之什 三之二 / 17
生民(생민)17
行葦(행위)26
旣醉(기취)31
鳧?(부예)35
假樂(가락)37
公劉(공유)40
泂酌(형작)47
卷阿(권아)49
民勞(민로)55
板(판)59
詩經集傳 卷之十八
蕩之什 三之三 / 67
蕩(탕)67
抑(억)73
桑柔(상유)85
雲漢(운한)97
崧高(숭고)104
烝民(증민)109
韓奕(한혁)117
江漢(강한)123
常武(상무)128
瞻?(첨앙)133
召旻(소민)139
詩經集傳 卷之十九
頌 四
周頌 淸廟之什 四之一 / 145
淸廟(청묘)145
維天之命(유천지명)147
維淸(유청)149
烈文(열문)149
天作(천작)152
昊天有成命(호천유성명)152
我將(아장)153
時邁(시매)156
執競(집경)158
思文(사문)160
周頌 臣工之什 四之二 / 162
臣工(신공)162
噫?(희희)164
振鷺(진로)165
?年(풍년)167
有?(유고)168
潛(잠)170
?(옹)170
載見(재현)173
有客(유객)175
武(무)177
周頌 閔予小子之什 四之三 / 178
閔予小子(민여소자)178
訪落(방락)180
敬之(경지)181
小毖(소비)183
載芟(재삼)184
良?(양사)187
絲衣(사의)190
酌(작)192
桓(환)193
??(뢰)194
般(반)195
詩經集傳 卷之二十
魯頌 四之四 / 197
?(경)198
有?(유필)201
泮水(반수)203
?宮(비궁)209
商頌 四之五 / 220
那(나)220
烈祖(열조)224
玄鳥(현조)226
長發(장발)229
殷武(은무)236
附 錄
?詩序辨說 / 243
?英宗大王御製 / 344
?四庫全書 簡明目錄 經部三 詩類 / 346
?《詩經集傳 下》 도판 목록 / 368
?參考文獻 / 370
?用例 索引 / 375
?引用先儒姓氏表 / 382
?15國風地理圖 / 383
고객상품평 총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총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거래액 30,000원 미만일 경우 소정의 배송료가 부과되며 도서 산간의 경우(제주도, 울릉도 등)는 기본 배송료에 3,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청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