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0


  • HOME
  • 제자·문집

한시외전1

상품이미지 최대 사이즈

상품 정보 표
역/저자 허경진 외
페이지수 352
판형 4X6배판
발행일 2021년 1월 31일
ISBN 9791157942749
소비자 가격 29,000원
판매가격 29,000

선택한 상품

  • 상품수량
    29,000원

총 합계금액 29,000

구입문의(직통) : 070-4432-4589

한시외전(韓詩外傳)이란 책은

≪한시외전(韓詩外傳≫은 서한(西漢)시대 초기(初期)에 연(燕)지역의 학자인 한영(韓?) (?~?)이 남긴 저술로, 고사(古事)를 소개하는 방식을 취하며, 주로 ≪시경(詩經)≫ 등의 구절을 말미에 인용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형식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시경≫ 학습방법을 따라 주자(朱子)에 의해 정리된 ≪시경≫을 위주로 하여 배운 고전적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모시(毛詩)≫만 해도 대단한 고형(古形)의 텍스트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 ≪한시외전≫은 ≪모시≫보다도 더 이전에 융성했던 ≪노시(魯詩)≫, ≪제시(齊詩)≫, ≪한시(韓詩)≫의 존재를 증거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시경≫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서 이를 숙지할 필요와 가치가 있다. 특히, 이는 ≪모시≫의 구절에서 특정 시어를 왜 다른 글자로 읽어도 무방한지 그 이유를 해명해 주거나, 특정 구절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노시≫, ≪제시≫, ≪한시≫는 오래전에 일실되어 그 전모를 알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구절구절의 자투리는 여러 곳에 남아 전하고 있어서, 청나라 말기 왕선겸(王先謙) (1842~1917)은 이를 모으고 정리하여 ≪시삼가의집소(詩三家義集疏)≫같은 명저를 남기기까지 했다. 이 책 역시 낙수(落穗)를 모은 것이라 여러모로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시경≫과 관련한 풍부한 자료를 남기고 있는 ≪한시외전≫은 자료적 측면에서도 매우 각별하여, ≪시경≫이해를 둘러싼 이러한 사정에 요긴한 보탬이 된다.


조선의 문인들도 탐독했던 한시외전(韓詩外傳)
우리 선조들이 많이 읽었던 동양고전으로서의 면모를 살피는데 있어 가장 인상적인 것은 정조(正祖)가 경연(經筵)에서 ≪한시외전≫을 ≪시경≫ 이해의 학술적인 근거로 다루려는 시도를 보인 점이다. 그 이전의 ≪한시외전≫ 독서는 풍부한 교양을 위한 독서에서 그쳤지만, 정조는 이를 뛰어넘어 ≪시전≫이나 ≪모시≫ 이전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안목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교양의 토대로서의 ≪한시외전≫ 독서열풍도 인상적이지 않은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 문인들 가운데 서거정, 김종직, 이행, 유희춘, 김성일, 유몽인, 권필, 이정구, 신흠, 차천로, 허목, 김세렴, 윤휴, 이익, 박지원, 정약용, 이상정, 이유원, 이만도 등도 ≪한시외전≫ 구절을 시문에 가져다 썼으며, 허목, 김세렴, 이익, 한치윤, 이유원 등은 문헌고증(文獻考證)에 ≪한시외전≫ 구절을 자주 인용하였다.
이익은 ≪성호전집(星湖全集)?정역발(訂易跋)≫에서 홍중징이 지은 ≪정역(訂易)≫이 “규모(規模)는 ≪한시외전≫을 본받았고 정채(精彩)는 주자(朱子)의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를 본받았으니, 역(易)을 배우는 학자가 어찌 이 한 수를 하찮게 여길 수 있겠는가.”라고 칭찬하면서 ≪한시외전≫을 주자의 ≪의례경전통해≫와 같은 반열에서 논하며 칭송의 근거로 내세웠다.


본서의 구성
≪한시외전(韓詩外傳)≫은 기보총서(畿輔叢書)를 기준으로 할 때, 309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314번에 걸쳐 ≪시경≫의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대개의 경우 각 장마다의 삽화를 정리하면서 관련 ≪시경≫ 구절을 활용하고 있고, 굉장히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특정 구절을 먼저 제시한 후 이를 설명하면서 삽화를 동원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그리고 ≪시경≫ 구절 외에 다른 출전을 동원하여 삽화를 요약하는 경우도 있는데, ≪주역(周易)≫은 6번, ≪논어≫는 3번, ≪노자≫는 2번, ≪서경≫은 1번 인용되었다. 이 밖에도 속담을 활용한 경우가 3번, 일시(逸詩)를 인용한 경우도 2번이나 된다. ≪한시외전≫에서 ≪시경≫을 인용하는 경우에도 양상이 단순하지는 않은데, 하나의 장에서 최대 7개의 ≪시경≫ 구절을 인용하는 경우가 1번, 5개 구절 인용도 1번, 3개 구절 인용은 2번, 2개의 구절 인용은 14번이며, 심지어 ≪시경≫ 구절을 인용하지 않는 장도 무려 23개나 된다. 본 ≪한시외전1≫에서는 총 다섯 권이 수록되어있는데, 각권마다 실려 있는 편(篇)의 수는 일정하지 않다.


세상의 모든 이야기를 담은 전고(典故)의 보고(寶庫)
≪한시외전(韓詩外傳)≫은 전고(典故)의 보고(寶庫)이다. 풍수지탄(風樹之嘆), 풍수지정(風樹之情), 당랑거철(螳螂拒轍), 등고능부(登高能賦), 해불양파(海不揚波), 시잠(蓍簪), 조가도수(朝歌屠?), 조구(糟丘), 계지오덕(鷄之五德), 삼비(三費), 오제(五際), 잠리(簪履), 석호(石虎), 토포악발(吐哺握髮) 등의 수많은 고사 숙어들의 출전이기에, 독자들이 이 번역서를 통해 원전과 함께 다양한 고사 숙어들을 배워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번역과 다른 번역 표현을 제공함으로써, 그동안 유일본으로 통용된 번역을 통해 혹시라도 오독되어 올 수도 있었던 여지를 줄이고, 최신 교감의 학술적 성과를 최대한 충실히 반영하여 교양 있는 독자들에게 학술번역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한 고전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한 시대를 풍미하다가 전승이 끊겨버린 고전(古典)이라는 특성상, 현전하는 남은 자료의 귀중함은 물론, 여러 고전 속에 흩어져 전승하는 한시(韓詩)와 관련된 직?간접의 소중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 정리, 발굴하여 이번 번역본에 전폭적으로 수록하였다.
책 속으로


?頊
5-24 하늘에는 四時가 있으니 봄?여름?가을?겨울과 그에 따른 바람?비?서리?이슬이 가르침이 아닌 것이 없다. 淸明한 덕이 몸에 있으면 그 기운과 뜻이 神明과 같아지기 때문에, 원하고 바라는 일이 장차 일어나려고 하면 반드시 그 조짐을 먼저 열어주니, 하늘에서 단비가 내리려고 하면 山川에서 먼저 구름이 이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詩經≫ <大雅 崧高>에 말하였다.
“높고 높은 산악이 우뚝하여 하늘에 닿으니 산악에서 신령한 기운을 내려 仲山甫와 申伯을 낳았도다. 이 중산보와 신백이 周나라의 根幹이 되어서 사방에 울타리가 되고 사방에 덕택을 베풀도다.”
이것은 文王과 武王의 덕이다.
三代가 왕 노릇할 때에는 반드시 훌륭한 명성이 먼저 있었다.
그러므로 ≪詩經≫ <大雅 江漢>에 말하였다.
“밝고 밝은 천하여! 훌륭한 소문이 그치지 않도다. 文德을 베풀어서 이 사방의 나라를 조화롭게 하였도다.”
이것은 太王의 덕이다.
天有四時하니 春夏秋冬①과 風雨霜露가 無非?也라 淸明在躬하면 氣志如神이라 嗜欲將至에 有開必先하니 天降時雨에 山川出雲하니라 詩曰 崧高維嶽이 峻極于天②하니 維嶽降神하여 生甫及申이로다 維申及甫가 維周之翰하여 四國于藩③하며 四方于宣이라하니 此文武之德也니라 三代之王也에 必先其令名④하니 詩曰 明明天子여 令聞不已이라 矢其文德하여 洽此四國⑤이라하니 此大王之德也라
①春夏秋冬:趙懷玉本에 ‘春秋冬夏’로 되어 있고, 그 교감한 내용에 “여러 本에 모두 ‘春夏秋冬’으로 되어 있으나 이제 ≪禮記≫ <孔子閒居>에 근거하여 고친다.” 하였다.
趙本에 作春秋冬夏요 校語에 本皆作春夏秋冬이나 今依禮記孔子閒居改라
②峻極于天:‘峻’은 <大雅 崧高>本에 ‘駿’으로 되어 있다. <孔子閒居>에서 인용한 글에는 또한 ‘峻’으로 되어 있다. 趙懷玉本에는 ‘駿極于天’으로 되어 있다.
峻은 大雅崧高本에 作駿이라 孔子閒居引亦作峻이라 趙本에 作駿極于天이라
③四國于藩:‘藩’은 ≪詩經≫과 ≪禮記≫에 모두 ‘蕃’으로 되어 있다.
藩은 詩禮竝作蕃이라
④必先其令名:‘名’은 ≪禮記≫에 ‘聞’으로 되어 있고, 趙懷玉이 교감한 내용도 같다.
名은 禮作聞이요 趙校語同이라
⑤矢其文德 洽此四國:‘矢’는 ≪禮記≫에서 ≪詩經≫ <大雅 江漢>을 인용한 글에는 ‘弛’로 되어 있고, ‘洽’은 ‘協’으로 되어 있다. ‘弛’와 ‘矢’는 모두 ‘施(베풀다.)’의 뜻이고, ‘協’과 ‘洽’은 ‘和(조화롭다)’의 뜻이다.
矢는 禮引江漢作弛이요 洽은 作協라 弛矢는 皆施也요 協洽은 皆和也라

책임번역자 약력


許敬震
1952년 출생
淵民 李家源 先生 師事
延世大學校 國文科 大學院 문학박사
牧園大學校 國語敎育科, 延世大學校 國文科 교수 역임
淵民學會 편집위원장(現)

論著 및 譯書
論著 ≪허균평전≫, ≪사대부 소대헌 호연재 부부의 한평생≫, ≪조선의 중인들≫
譯書 ≪西遊見聞≫, ≪三國遺事≫(공역), ≪孔子家語≫(공역)



공동번역자 약력
具智賢
1970년 출생
延世大學校 國文科 大學院 문학박사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연수부 졸업
鮮文大學校 국어국문학과 교수(現)

論著 및 譯書
論著 ≪通信使 筆談唱和集의 세계≫, ≪癸未通信使 使行文學 硏究≫
譯書 ≪懲毖錄≫, ≪滄?紀行≫, ≪雲養集≫(공역), ≪孔子家語≫(공역)


徐賢卿
1969년 출생
延世大學校 國文科 大學院 문학박사
成均館翰林院 翰林階梯 졸업(한림원장상 수상)
한국고전번역원 校勘·標點 專門委員(現)
韓國古建築人文學硏究所 代表(現)

論著 및 譯書
論著 ≪열하일기 定本의 탐색과 서술분석≫, ≪서애 학맥의 역사와 공간≫(공저)
譯書 ≪峴首甲藁≫(공역), ≪한국의 옛집≫(공역)
≪韓詩外傳≫1 목 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解 題
凡 例
參考文獻

1. 韓?의 傳 本傳 / 43
2. 識 / 45
3. ≪韓詩外傳≫의 ≪漢書≫ <藝文志>의 6권본 설과 ≪隋書≫ <經籍志>와 ≪唐書≫ <藝文志>의 10권본 설 韓詩外傳漢志六卷隋唐志十卷 / 47
4. ≪韓詩外傳≫의 舊序 韓詩外傳舊序 / 54
5. ≪韓詩外傳≫ 舊序 韓詩外傳舊序 / 57
6. ≪韓詩外傳≫ 舊序 韓詩外傳舊序 / 59
7. 校刻≪韓詩外傳≫序 校刻韓詩外傳序 / 61

韓詩外傳 卷第一 / 65
韓詩外傳 卷第二 / 109
韓詩外傳 卷第三 / 170
韓詩外傳 卷第四 / 242
韓詩外傳 卷第五 / 296

[附 錄]
1. ≪韓詩外傳1≫ 圖版目錄 / 347
2. ≪韓詩外傳1≫ 總目次 / 348


고객상품평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상품 문의하기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제 확인 후 다음 날부터 1~2일 이내 전국(도서산간 지방 제외)으로 롯데택배를 통하여 배송됩니다.
거래액 30,000원 미만일 경우 소정의 배송료가 부과되며 도서 산간의 경우(제주도, 울릉도 등)는 기본 배송료에 3,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청구됩니다.

배송정보
배송조회를 하시려면 송장번호를 클릭하세요
배송조회
상품명
주문번호
택배사
송장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