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0


  • HOME
  • 전자책(Web북) 구매

[WebBook] 오서오경독본 소학집주 상

상품이미지 최대 사이즈

상품 정보 표
역/저자 이충구 외
페이지수 312
판형
발행일 2019년 11월 20일
ISBN
소비자 가격 22,500원
판매가격 22,500

선택한 상품

  • 상품수량
    22,500원

총 합계금액 22,500

구입문의(직통) : 070-4432-4589

WebBook(전자책)은 본 사이트 상단의 전자책 메뉴에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본 상품은 낱권 구매 상품입니다.
※ 기간제로 이용할 경우 모든 전자책을 해당 기간동안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책소개]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과 ≪주역전의≫를 끝으로 근 10년 동안의 노력에 마침내 방점을 찍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번역사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부족할 뿐 아니라 조급하게 번역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내외 연구 성과가 쌓임은 물론이고 동양학 열풍으로 높아진 독자의 지적호기심을 채우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마침내 2005년 개정증보판改訂增補版 사서四書를 발간하였으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21세기판 동양고전번역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총서를 기획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서오경독본’ 시리즈다. 오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을, 오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오서오경은 유학儒學과 동아시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는 고전古典이다. 본회에서는 치밀한 준비와 연구를 거쳐 ≪논어집주≫, ≪대학 중용집주≫, ≪시경집전≫에 이어 ≪소학집주≫ 두 권을 ≪서경집전≫과 동시에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소학≫의 편찬 《소학小學》의 편자는 주희朱熹(1130~1200)와 유청지劉淸之(1134~1190)로, 두 학자의 공동 편집이다. 《소학》 편찬은 5년이 소요되었는데, 주편자는 주희로서 그 전체적인 일을 맡아 했고, 유청지는 주희를 도와 기획과 원고 정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상편(내편)만 기획되었다가 뒤에 가언·선행의 하편(외편)이 이룩되었다. 뒤에 원고가 전체적으로 재정리되었는데, 그 일은 원고의 앞뒤를 변경하고, 문장·시부를 제거하고, 고금의 사례 및 송대 주돈이 등 선철들의 사적을 증보하고, <소학서제小學書題>·<소학제사小學題辭>를 책머리에 만들어 넣은 것이다. ≪소학≫의 체제와 내용 《소학》은 <소학서제>, <소학제사> 등과 내편, 외편의 2편으로 구성되었다. <소학서제>·<소학제사>는 서문, 통론의 성격을 지닌다. 《소학집주증해》에는 <서제>와 <제사>를 구분하여 설명했다. <서제>는 《소학》만을 언급한 서문이다. <제사>는 성리설을 언급하고 《소학》·《대학》을 통론하여, <서제>의 뜻을 확충하면서 운어(韻語)를 이루었다. 내편은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 <계고稽古>로 이루어졌고, 외편은 <가언嘉言>, <선행善行>으로 이루어졌다. 각 편의 글은 기존 문헌에서 추출되었다. 이들을 편집하여, 내편에서는 근본을 확립했고, 외편에서는 실례實例를 들었다. 내편에서는 대체로 경서의 문장이 인용되었고, 외편에서는 대체로 제사諸史 및 가훈家訓이 인용되었다. 이들은 수많은 전적 속에서 정수가 엄선된 것이다. ≪소학≫의 가치 조선은 주자학을 국가의 이념으로 삼았다. 주자학 일변도의 사상적 경향은 다른 사상을 용납하지 않았다. 도교, 불교는 고사하고 유학의 일종인 양명학까지도 이단으로 취급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주자학은 국가의 비호 아래 발전했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대유학자(주자학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소학》에는 동양 문화의 기본정신이 들어 있다. 한국에 있어서, 특히 조선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학》에 나타난 정신을 이해해야 한다. 조선시대에는 《소학》을 읽지 않은 선비가 없었다.《소학》으로 학문의 기초를 닦은 학자, 문인은 시문 등에 그 글을 많이 인용했다. 《소학》의 각 장은 각각 원전을 인용한 것이지만, 선비들은 그 문장을 원전에서보다도 우선 《소학》에서 습득했다. 그것은 자연히 광범하게 작문 등에 응용되었다. 그 결과 《소학》에 채록된 내용은 최고의 보편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소학》은 학문을 하는 데에 으뜸가는 기본서이다. 《소학》이 단독 저술로서 학문에 파급되는 비중은 매우 크며, 교양서로서도 그 가치는 높다. 이 책의 특징 ≪오서오경독본 소학집주≫는 자의字義를 달아 초학자들에게 어려운 글자 뜻을 알 수 있도록 했고, ≪소학서도小學書圖≫,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등의 도판을 덧붙여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도판 및 참고문헌은 QR코드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으며, 숙종 임금이 지은 《소학》 서문과 영조 임금이 지은 《소학》 후서를 부록으로 실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자 소개 이충구 李忠九 경기 과천 출생 秀松 梁大淵, 龍田 金喆熙 선생 師事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국어국문학 부전공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 박사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단국대학교 韓中關係硏究所 硏究員(現) 論文 <經書諺解硏究> <說文解字에 나타난 漢字字源硏究> 등 譯書 《東山先生奏議》 《선비 安潚日誌》 《小學集註》 《註解千字文》 등 共譯 《國譯治平要覽》 《增補四禮便覽譯註本》 《譯註國語》 《譯註貞觀政要集論》 《爾雅注疏》 등 김재열 金在烈 전남 화순 출생 秋淵 權龍鉉 선생 師事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수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사전편찬실 전문연구원 共譯 《宣祖實錄》 《宋子大全》 《茶山詩文集》 《國語》 《完譯 性理大全》 등 황봉덕 黃鳳德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 박사 論文 <李德懋 《士小節》 硏究> 共譯 《譯註 貞觀政要集論》 《國譯 通鑑節要增損校註Ⅰ》 《文苑叢寶》 《千字文字解》 등 이승용 李承容 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 박사 한국고전번역원 전문과정 수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선임연구원(現) 論文 <조선후기 江華學派漢詩硏究 - 全州李氏德泉君派八匡을 중심으로> 共譯 《譯註 貞觀政要集論》 《國譯通鑑節要增損校註Ⅰ》 《自著實紀》 《樂全堂集》 《寒溪日記》 《晝永編》 등 책 속으로 ?子思子曰 天命之謂性이요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라하시니 則(칙)天明하고 遵聖法하여 述此篇하여 ?爲師者로 知所以敎하며 而弟子로 知所以學하노라 子思 선생이 말하기를 “하늘이 명령한 것을 性이라 하고, 性을 따르는 것을 道라 하고, 道를 닦는 것을 敎라 한다.”라고 하였다. 하늘의 밝은 命을 본받고 聖人의 法을 따라 이 책을 편찬하여 스승에게는 가르칠 것을 알게 하며 제자에게는 배울 것을 알게 한다. -(<立敎>) ?內則曰 子事父母하되 鷄初鳴이어든 咸?漱하며 櫛??總하며 拂?하며 冠?纓하며 端?紳하며 搢笏하며 左右佩用하며 ??著(착)?이니라 《禮記》 <內則>에 말하였다. “자식이 부모를 섬길 때에는 새벽에 첫닭이 울면 모두 세수하고 양치질하며, 머리 빗고 緇布巾으로 머리를 감싸고 비녀를 꽂고 상투를 묶고 다팔머리의 먼지를 털고 관을 쓰고 갓끈을 드리우며, 玄端服을 입고 슬갑을 차고 띠를 매고 홀을 꽂고 좌우에 소용되는 물품을 차고 행전을 매고 신을 신고 신 끈을 맨다. -(<明倫>) ?孔子曰 君子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요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孔子가 말씀하였다. “군자는 음식을 먹을 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할 때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에는 민첩하되 말은 신중히 하고, 도가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옳고 그름을 질정받으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말할 만하다.” -(<敬身>) ?伯兪有過어늘 其母笞之한대 泣이어늘 其母曰 他日笞에 子未嘗泣이라가 今泣은 何也오 對曰 兪得罪에 笞常痛이러니 今母之力이 不能使痛이라 是以泣하노이다 伯兪가 잘못이 있어 그 어머니가 매를 때리자 백유가 울기에 어머니가 “전날에는 매를 때려도 네가 운 적이 없었는데, 지금 우는 것은 어째서냐?” 하자, 답하기를 “제가 죄를 지어 매를 맞을 때면 항상 아팠는데, 지금은 어머니의 힘이 쇠약하여> 저를 아프게 때리지 못하므로 우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稽古>) ?好議論人長短하며 妄是非政法이 此吾所大惡(오)也니 寧死언정 不願聞子孫有此行也하노라 남의 장단점을 논평하기를 좋아하며 정치와 법률을 함부로 시비하는 것은, 이는 내가 매우 미워하는 것이다. 차라리 죽을지언정 자손에게 이러한 행실이 있다는 말을 듣기를 원하지 않는다. -(<嘉言>) ??痛父非命하여 於是에 隱居敎授하여 三徵七?에 皆不就하고 廬于墓側하여 旦夕에 常至墓所하여 拜?하고 攀柏悲號하여 涕淚著(착)樹하니 樹爲之枯하니라 讀詩에 至哀哀父母生我?勞하여는 未嘗不三復流涕하니 門人受業者 竝廢蓼莪(육아)之篇하니라 王?는 아버지가 비명에 죽은 것을 애통히 여겼다. 이에 은거하여 제자들을 교수하여, <朝廷에서> 세 번 부르고 <郡國에서> 일곱 번 불렀는데도 모두 나아가지 않고서 묘 옆에 여막을 짓고 아침저녁으로 항상 묘소에 가서 절하여 무릎 꿇고 측백나무를 잡고 슬피 울어 눈물이 나무에 묻었는데, 나무가 그 때문에 말라죽었다. 《詩經》을 읽다가 <蓼莪篇>의 “슬프고 슬프다. 우리 부모여! 나를 낳으시느라 수고하였다.”라는 구절에 이르면 여러 번 반복하여 외며 눈물을 흘리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에 門人으로서 수업하는 자들은 모두 <육아편>을 배우지 않았다. -(<善行>) 目 次 ≪小學集註 上≫ ?刊行辭 / 5 ?解 題 / 8 ?凡 例 / 21 小學書題 / 25 小學集註攷訂 / 29 小學題辭 / 34 小學集註總論 / 42 小學集註總目 / 49 立敎 第一 / 58 明倫 第二 / 94 明父子之親 / 95 明君臣之義 / 143 明夫婦之別 / 157 明長幼之序 / 173 明朋友之交 / 189 通論 /195 敬身 第三 / 205 明心術之要 / 206 明威儀之則 / 215 明衣服之制 / 232 明飮食之節 / 239 稽古 第四 / 247 立敎 / 248 明倫 / 253 敬身 / 285 通論 / 294 【附 錄】 《小學集註 上》 도판 목록 / 305 ≪小學集註 下≫ ?刊行辭 / 5 ?凡 例 / 8 嘉言 第五 / 13 廣立敎 / 14 廣明倫 / 50 廣敬身 / 95 善行 第六 / 141 實立敎 / 141 實明倫 / 158 實敬身 / 229 小學集註跋 / 206 小學跋 / 264 【附 錄】 ? 御製小學序 / 269 ? 御製小學後序 / 272 ? 《小學集註 下》 도판 목록 / 275 ? 參考文獻 / 277

고객상품평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상품 문의하기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제 확인 후 다음 날부터 1~2일 이내 전국(도서산간 지방 제외)으로 롯데택배를 통하여 배송됩니다.
거래액 30,000원 미만일 경우 소정의 배송료가 부과되며 도서 산간의 경우(제주도, 울릉도 등)는 기본 배송료에 3,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청구됩니다.

배송정보
배송조회를 하시려면 송장번호를 클릭하세요
배송조회
상품명
주문번호
택배사
송장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