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0


  • HOME
  • 제자·문집

세설신어보4

상품이미지 최대 사이즈

상품 정보 표
역/저자 김진옥 외역
페이지수 328
판형 4x6배판
발행일 2022년 5월 30일
ISBN 979-11-5794-501-6
소비자 가격 30,000원
판매가격 30,000

선택한 상품

  • 상품수량
    30,000원

총 합계금액 30,000

구입문의(직통) : 070-4432-4589

명사들의 에피소드 모음집, 대중문학의 신장르를 개척하다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는 명대(明代)의 문인인 왕세정(王世貞)(1526~1590)이 유의경(劉義慶)(403~444)이 편찬한 ≪세설신어(世說新語)≫와 하양준(何良俊)(1506~1573)이 편찬한 ≪하씨어림(何氏語林)≫ 중에서 각각 일부분을 뽑아내어 합쳐서 만든 것이다.
≪세설신어≫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에 유송(劉宋)의 유의경이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 말까지 실존했던 명사(名士)들의 언행과 일화를 모아 주제별로 실어놓은 서적이다. 이 책에 실린 인물들이 실제 생존했던 사람들이고 당시의 명사들이었기 때문에 이후 ≪세설신어≫는 문인들의 애독서가 되었다.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세설신어》, 에피소드문학의 원조가 되다
≪세설신어≫ 출현 이후 이 책의 서명, 체재, 문체 등을 모방한 속서(續書)들이 연이어 나왔다. 명나라 때 나온 ≪하씨어림≫과 ≪세설신어보≫도 속서 중의 하나이다. ≪하씨어림≫은 ≪세설신어≫를 모방하여 위진시대에서 그친 ≪세설신어≫의 시대 범위를 송원대(宋元代)까지 확장시켰다. 그러나 ≪세설신어≫가 지닌 고상함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한 왕세정은 ≪하씨어림≫에서 ‘전아(典雅)하고 순정(純正)[雅馴]’한 일화를 뽑아내어 ≪세설신어≫의 일화와 합쳐 다시 ≪세설신어보≫를 편찬하였다. 왕세정의 ≪세설신어보≫가 출현하자, 이 책의 인기는 원본 ≪세설신어≫를 능가하였다. 나아가 이 책에 비점(批點)을 찍고 주석을 더한 ≪이탁오비점세설신어보(李卓吾批點世說新語補)≫ 등의 비점본(批點本)들도 성행하게 되었다.

새로운 대중적 글쓰기, 고사성어(故事成語)의 보고(寶庫)
《세설신어》는 문학예술적 측면에서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과 같은 수사학적인 유미주의(唯美主義)가 극성을 부리던 당시 문학의 흐름에서 벗어나 간결하면서도 담백한 획기적인 글쓰기로 작문되었다. 특히 인물을 묘사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용하는 언어의 간결미와 함축미는 언어예술이 품격을 한층 더 높였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등용문(登龍門)’, ‘난형난제(難兄難弟)’, ‘점입가경(漸入佳境)’ 등 수많은 고사를 담은 고사성어의 보고라 할만하다.
또한 《세설신어》는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행하던 중국 고전소설의 흐름에 있어 ‘지인소설(志人小說)’이라는 독특한 유파를 정립함으로써, 근대까지 수많은 모방 작품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세설체(世說體)’ 필기 소설로 존중받고 있다.
?

조선시대 선비의 애독서
≪세설신어≫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최치원(崔致遠)(857~?)의 시 <봄날의 새벽에 우연히 쓰다[春曉偶書]>에서 ≪세설신어≫에 나오는 유령(劉伶)의 고사를 전고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 즉 900년 초에 국내에 전래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상에 ≪세설(世說)≫이라는 명칭이 언급된 것은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처음 나타나는데, <동각 오세문이 고원의 여러 학사에게 드린 300운의 시에 차운하다[次韻吳東閣世文呈誥院諸學士三百韻詩]>라는 시에 이규보 자신이 주를 달아, “이 일은 ≪세설≫에 보인다.[事見世說]”라 하였다. 그의 연보에 따르면 이 시는 고려 명종(明宗) 25년(1195)에 지어졌으므로, 이때에 ≪세설신어≫가 우리나라에 존재하였다는 분명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설신어보≫의 초고속 조선전래
≪세설신어보≫는 선조 39년(1606)에 우리나라에 온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에 의해 전래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의현(李宜顯)이 ≪도곡집(陶谷集)≫에서 “명나라 사신 주지번이 가지고 와서 서경(西坰)에게 증정하여 마침내 우리나라 문인들이 즐겨 보게 되었다.”고 하였고, 허균(許筠)이 <세설산보주해서(世說刪補注解序)>에서 “병오년(1606, 선조39) 봄에 주태사(朱太史, 지번(之蕃))가 조서(詔書)를 받들고 우리나라에 왔는데 ?중략- 작별할 때 여러 종의 서적을 주었는데 이 책도 그중의 하나였다.”라고 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1606년에 우리나라에 전래 되었다면, 1586년에 왕세정의 ≪세설신어보≫가 민중(?中)에서 간행되어 나온 지 약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을 때였으니 얼마나 신속하게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파되었는지 알 수 있다.


본서의 구성
≪세설신어보≫는 총 1,426조의 일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세설신어≫에서 채록한 일화가 849조이고 ≪하씨어림≫에서 채록한 일화가 577조이다. ≪세설신어≫는 1,130여 조목이고 ≪하씨어림≫은 2,781조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은 “≪세설신어≫에서 없앤 것은 10분의 2를 넘지 않고 ≪하씨어림≫에서 채택한 것은 10분의 3을 넘지 않는다.”고 한 산정자(刪定者) 왕세정의 기술과 대략 일치한다. 왕세정은 ≪세설신어≫를 주축으로 하고 ≪하씨어림≫을 보속(補續)으로 삼아 ≪세설신어≫의 속서(續書)를 편찬하였고 서명도 그러한 자신의 취지를 반영하여 ≪세설신어보≫라 명명하였다.
≪세설신어보 4≫에서는 ≪세설신어보≫ 전체 36편 중 아홉 주제의 9편(14권 傷逝~17권 排調 上)이 수록되었다. 주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망자에 대한 슬픔 傷逝> : 사망한 사람들을 애통해하는 일화
?<은거한 사람들 棲逸> : 은거한 사람들의 일화
?<훌륭한 여인들 賢媛> : 여인의 훌륭한 언행과 관련된 일화
?<신묘한 예지력 術解> : 의약, 음악, 점, 발명 등에 뛰어난 사람들에 관한 일화
?<뛰어난 기예 巧藝> : 음악, 회화, 서예, 건축, 바둑 등에서 뛰어난 사람들에 관한 일화
?<총예받은 사람들 寵禮> : 군주나 상관의 총애를 받은 사람들에 관한 일화
?<거침없는 처신 任誕> 上 : 禮制에 얽매이지 않고 행동한 사람들에 관한 일화
?<거침없는 처신 任誕> 下 : 禮制에 얽매이지 않고 행동한 사람들에 관한 일화
?<거리낌 없는 오만함 簡傲> : 고관대작들의 오만하고 도도하게 구는 행동에 관한 일화
?<재치 넘치는 농담 排調> 上 : 상대를 놀리는 재치있는 말


명사들의 속살을 들추어내다
≪세설신어보≫의 특징은 철저하게 인물 위주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대상은 후한(後漢)부터 송원(宋元)까지 실제 생존했던 제왕ㆍ고관ㆍ귀족ㆍ승려ㆍ학자ㆍ은자ㆍ부녀자 등인데, 일화의 내용이 이들의 가치관, 재능, 품성, 개성, 인간관계 등을 다루고 있으므로 자연히 인물품평(人物品評)의 성격을 띤다는 점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일화들을 36개의 주제별 편목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는 것 또한 이 책이 특별한 점이다. 각 일화의 분량은 10여 글자로 이루어진 것도 있고 길어도 3~400자를 넘지 않으며 평균 100여 글자 정도로 짧다.
이러한 분량 안에 대상 인물의 언행 중에서 각 주제에 맞는 가장 특출한 부분을 간결하고 함축적으로 묘사하였으므로, 이 책의 간결하고 생동적인 표현은 높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유응등(劉應登)은 이 책에 실린 일화들이 “꿈속에서도 생각하게 하고, 맛이 있고 정취가 있어 삼키면 삼킬수록 더욱 그 맛이 풍부해지고 아무리 씹어도 그 정취를 다 알지 못하게 한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이렇듯 흥미롭고 매력적인 인물들의 인물품평으로 이뤄진 만큼 쉽고 재밌게 한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책 속으로

친구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27-16 지도림(支道林)은 법건이 세상을 떠난 뒤에 정신도 쇠약해지고 풍채도 점차 시들해졌으니, 한번은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옛날에 장석(匠石)은 영(?)땅 사람이 <죽자> 도끼질을 그만두었고 백아(伯牙)는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연주를> 그만두었다네. <법건에 대한> 나의 마음을 미루어 밖으로 <그들의 일을> 헤아려보니 <그들의 마음은> 진실로 거짓이 아니오. 명계가 세상을 떠난 뒤로는 말을 해도 품평해줄 사람이 없어 마음속이 꽉 막혀 있으니 나는 장차 죽을 것이오.”
1년 뒤에 지도림은 결국 세상을 떠났다.
支道林은 喪法虔之後에 精神?喪하고 風味轉墜라 常謂人曰 昔匠石은 廢斤於?人하고 牙生은 輟弦於鍾子하니 推己外求컨대 良不虛也라 冥契旣逝에 發言莫賞하여 中心蘊結하니 余其亡矣라하다 ?後一年에 支遂殞이라
- 〈27. 망자에 대한 슬픔 傷逝〉 中에서 -



부침(浮沈)의 어원

33-34 은홍교(殷洪喬)가 예장태수(豫章太守)가 되어 부임해갈 때 수도의 사람들이 그 편에 100 여 통의 편지를 부탁하였는데, 석두(石頭)에 도착한 뒤에 그 편지들을 모두 물에 던지며 빌었다.
“가라앉을 것은 가라앉고 떠오를 것은 떠오르라. 은홍교는 우체부가 될 수 없다.”
殷洪喬作豫章郡臨去에 都下人이 因附百許函書한대 ?至石頭하여 悉擲水中하고 因祝曰 沈者自沈하고 浮者自浮하라 殷洪喬不能作致書郵라하다
- 〈33. 거침없는 처신 (상) 任誕 上〉 中에서 -

책임번역자 약력


金鎭玉
1959년 출생
西江大學校 史學科 碩士
高麗大學校 文學博士(고전번역)
民族文化推進會 國譯硏修院 상임연구부 졸업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前)



論著 및 譯書
論著 <≪世說新語≫에 대한 일고찰>, <조선 후기 官署志에 대한 고찰> 등
譯註書 ≪의금부의 청헌, 금오헌록≫ 등
共譯 ≪일성록≫, ≪정조실록≫ 등




공동번역자 약력

金泰勳
1971년 출생
高麗大學校 漢文學科 學士
高麗大學校 中語中文學科 碩士 修了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現)

譯書
共譯 ≪승정원일기≫, ≪신역 조선왕조실록≫


南誠佑
1969년 출생
高麗大學校 漢文學科 졸업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전문위원
民族文化推進會(현 韓國古典飜譯院) 부설 敎育硏修院 상임연구원(현 전문과정) 졸업
韓國古典飜譯院 표점교감팀 연구원
釜山大學校 점필재연구소 연구원
檀國大學校 동양학연구원 연구원
高麗大學校 한자한문연구소 연구원(現)

論著 및 譯書
譯書 ≪黃山遺藁≫, ≪桑韓唱和塤?集≫, ≪栢後遺集≫, ≪沔陽雜錄≫ 등
共譯 ≪金鼎奎日記≫, ≪使行錄≫, ≪石谷散稿≫, ≪承政院日記≫, ≪續陰晴史≫, ≪朝鮮王朝御冊:敎命?竹冊?金冊≫ 등
≪世說新語補 4≫ 目 次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 ? ? ??

世說新語補 14卷
27. 망자에 대한 슬픔 傷逝 / 11
28. 은거한 사람들 棲逸 / 48

世說新語補 15卷
29. 훌륭한 여인들 賢媛 / 89
30. 신묘한 예지력 術解 / 141

世說新語補 16卷
31. 뛰어난 기예 巧藝 / 168
32. 총예받은 사람들 寵禮 / 182
33. 거침없는 처신(上) 任誕 上 / 212

世說新語補 17卷
34. 거침없는 처신(下) 任誕 下 / 241
35. 거리낌 없는 오만함 簡傲 / 264
36. 재치 넘치는 농담(上) 排調 上 / 297


[附 錄]
1. ≪世說新語補4≫ 參考書目 / 319
2. ≪世說新語補4≫ 參考圖版 目錄 / 324
3. ≪世說新語補≫ 總目次 / 326
4. ≪世說新語補≫ 解題 / 326

고객상품평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상품 문의하기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제 확인 후 다음 날부터 1~2일 이내 전국(도서산간 지방 제외)으로 롯데택배를 통하여 배송됩니다.
거래액 30,000원 미만일 경우 소정의 배송료가 부과되며 도서 산간의 경우(제주도, 울릉도 등)는 기본 배송료에 3,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청구됩니다.

배송정보
배송조회를 하시려면 송장번호를 클릭하세요
배송조회
상품명
주문번호
택배사
송장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