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자치통감강목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 2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자치통감강목≫의 완역
동양 대표적 역사서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으로 이 책들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중 조선시대 500년 동안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은 ≪자치통감강목≫이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자치통감강목≫이란
≪자치통감강목≫이란 남송南宋 때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한 주희가 편찬한 역사서인데, 전국戰國시대부터 오대五代시대까지의 역사를 서술하되,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서술한 정신을 그대로 재현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로 편찬되었다. 주희는 이를 위해 사마광의 ≪자치통감≫을 가지고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체제와 춘추필법春秋筆法에 맞게 이 책을 편찬하는 과정 속에서 강목체綱目體라는 독특한 역사 서술 방식을 창조하였다. 특히 이 책은 성리학적 역사관을 살펴보는 데 있어 반드시 보아야 할 역사서가 되었다.
세종대왕의 명命으로 편찬된 주석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
세종대왕은 젊어서부터 이 책을 탐독하였는데, “학문하는 방법은 경학經學이 기본이니 우선 경학을 공부해야 한다. 그러나 경학만 연구하고 역사를 모르면 그 학문은 폭이 넓지 못하다. 역사歷史를 공부하려면 ≪자치통감강목≫만 한 책이 없다.”라고 하고 이 책에 주석을 달아 편찬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리하여 이루어진 것이 이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주석을 가리킨다. 세종대왕은 이미 ≪자치통감≫에도 훈의를 달도록 명하여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을 편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사들에게 다시 명하여 ≪자치통감≫과 ≪자치통감강목≫의 주석들을 종합하여 군주와 신하들이 읽기 쉽도록 우리만의 ≪자치통감강목≫ 주석서를 만든 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당시 중국의 주석서보다 우수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서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에는 훈의訓義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당시 중국의 여러 주석서를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하고, 당시 명明나라에서 편찬한 ≪자치통감강목집람資治通鑑綱目集覽≫이 엉성하며 열람하기 불편하니 우리의 훈의를 참고하였다면 크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탄식하고 훈의를 제일로 쳐야할 것 같다고 하였다.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은 강綱, 목目, 훈의訓義의 글자 크기를 각기 대중소大中小로 다르게 하여 독자들이 보기 쉽게 편집하였다. 특히 강綱은 대자大字로 주조하였는데, 이는 바로 진양대군晉陽大君(훗날 세조世祖)의 글씨이다. 이는 ≪자치통감강목≫은 강만 읽어도 전체 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특징을 더욱 살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본 번역서의 특징 - 강목綱目과 그 주註의 국내 최초 완역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역시 이러한 원본의 편집체제의 특징을 그대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번역문은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일반 독자들이 번역문만 읽어도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번역문 아래 원문을 함께 실어놓았으며 원문에는 원문의 문장구조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감을 하여 학술적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본서는 ≪자치통감강목≫과 그 주석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였다. 거기다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 및 한중일韓中日에서 나온 ≪자치통감≫ 연구서 등을 참조하여 고사故事와 인물人物, 역사적 사실과 제도까지 역주譯註로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인물, 고사, 기물의 도판과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지도를 넣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는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 52년(B.C.255)부터 시작하여 서초패왕西楚覇王 4년, 한왕漢王 4년(B.C.203)까지로 바로 진秦나라 통일과 초한쟁패楚漢爭覇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대해서는 진秦나라가 중국 천하를 통일하고 법과 문물을 통일하여 지금 중국의 기초를 놓은 시대로 평가된다. 그러나 유교적 입장에서는 진시황제秦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와 같은 폭정의 시대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의 후반부는 ≪초한지楚漢志≫의 배경이 되는 시기로 진제국秦帝國이 붕괴되고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라는 두 영웅이 천하를 두고 각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현재 ≪자치통감≫은 중국, 일본, 한국에서 번역되었으나 주석까지 완역完譯되지는 못하였고, ≪자치통감강목≫은 번역도 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번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주석인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의 완역을 통해 기존에 잊혔던 세종 시기의 연구 성과를 알리는 동시에 동양학과 한국학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역자 소개
辛承云
京畿 楊平 出生
文學博士, 현 成均館大學校 文科大學 文獻情報學科(書誌學) 및한문고전번역 석·박사 통합과정 敎授
成均館大學校 동아시아학술원장 겸 대동문화연구원장 역임
論文 및 譯書
〈成宗朝의 文士養成과 文集編刊〉 〈儒敎社會의 出版文化〉 등 多數
譯書 《國譯弘齋全書18》(〈群書標記〉) 《禮記集說大全1》
共譯《國譯靑莊館全書5,8,12》《國譯宋子大全11》 《國譯五洲衍文長箋散稿16,17,18》 《退溪全書5》 등 多數
徐廷文
서울 出生
文學博士, 國民大學校 文科大學 國史學科(朝鮮時代黨爭史)
韓國古典飜譯院 首席硏究委員
論文 및 譯書
〈朝鮮時代文集의 編刊과 門派의 形成>, <古典飜譯의 歷史的脈絡에
서 본 非文문제> 등 多數
共譯 《仁祖實錄11》 《서울金石文大觀2》 《高宗承政院日記15》《光海君日記3》 《明齋遺稿11》 등 多數
고객상품평 총 0개가 있습니다.
상품을 구매하신 회원님께서는 상품평을 작성해주세요.
- 등록 된 상품평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품문의 총 0개가 있습니다.
상품과 관련된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 등록 된 상품문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거래액 30,000원 미만일 경우 소정의 배송료가 부과되며 도서 산간의 경우(제주도, 울릉도 등)는 기본 배송료에 3,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청구됩니다.